개인연금저축펀드를 만들었으니, IRP(개인퇴직연금), ISA 계좌와 함께 활용하는 방법들을 목표에 따라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평생월급통(연금이야기)] - 요즘 난리 난 개인연금투자의 매력 다섯 가지
세액공제 최대화 전략 : 개인연금 600만 원 / IRP 300만 원 / 나머지 ISA
개인연금에서 가장 쉽게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세액공제입니다. 특정 주식이나 자산을 매수할 필요 없이, 개인연금에 돈을 입금하기만 하면 연말정산에서 혜택을 줍니다. 세액공제 혜택을 가장 크게 받기 위해서는 개인연금에 600만 원, IRP에 300만 원을 우선 채워서 납입해야 합니다.
개인연금과 IRP(개인퇴직연금)를 합치면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개인연금만으로는 세액 공제 혜택은 600만 원까지만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IRP(개인퇴직연금)에 추가로 300만 원을 납입하여 900만 원이라는 최대 세액공제를 맞춥니다. 900만 원에 적용되는 세액공제율(%)는 본인의 총급여에 따라 다릅니다.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인 사람은 납입금 900만원 X 16.5% = 1,485,000원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인 사람은 납입금 900만원 X 13.2% = 1,188,000원
IRP(개인퇴직연금)는 단독으로도 900만 원 모두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왜 굳이 개인연금 600만 원을 먼저 채우고 IRP(개인퇴직연금)에 300만 원을 납입할까요? 이유는 유동성에 있습니다. IRP(개인퇴직연금)은 중도 인출이 불가능합니다. 물론 법으로 정한 몇 가지 경우(무주택자의 주택구입, 파산, 6개월 이상의 요양 등) 중도인출이 가능합니다만, 이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지를 해야 돈을 꺼낼 수 있습니다. 반면 개인연금은 언제든 그 돈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 혜택이나 과세이연 혜택을 받은 금액의 혜택분을 뗀 돈은 자유 출금이 가능한 점이 장점입니다.
개인연금 최대화 전략 : 개인연금 1,800만 원 / 나머지 ISA
이 전략은 개인연금의 투자금액을 최대한 높이는 방법입니다. 개인연금의 1년 납입 한도는 1,800만 원이므로 이 금액을 먼저 채웁니다. 그리고 남은 돈이 있다면 ISA 에 넣습니다. IRP(개인퇴직연금)에 넣지 않는 이유는 위와 마찬가지로 유동성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IRP(개인퇴직연금)에서는 안전자산 30%를 반드시 보유해야 합니다. 그래서 개인의 투자전략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기 어렵습니다.
IRP(개인퇴직연금)보다 ISA 납입이 우선인 이유
ISA 계좌는 3년의 의무보유기간을 만족하면 비과세(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3년 이상 보유한 ISA계좌를 해지할 때, 이 계좌에 있는 금액을 개인연금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개인연금의 1년 납입 한도 금액이 1,800만 원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유일하게 이 한도를 넘어서 납입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ISA를 해지할 때 ‘전환’하는 것입니다. 개인연금 납입을 최대화하여 덩어리를 크게 만들고, 향후 연금으로 받는 소득을 높이는 것이 이 전략의 목표입니다. 그래서 ISA가 IRP(개인퇴직연금)보다 우선입니다.
ISA가 IRP(개인퇴직연금)보다 반드시 좋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다만, ‘개인연금 최대화 전략’을 전제로 했을 때 ISA 와 개인연금의 시너지가 큽니다. 그렇기에 ISA의 순위가 높은 것입니다.
마치며
개인연금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은 개인연금계좌를 만들고, 돈을 얼마나 밀어넣어야할지 많이 고민합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내가 어떤 방향의 투자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얼마를 납입하고 혜택 얼마를 받고 이런 내용들은 전술입니다. 전술은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세세한 수단과 방법들입니다. 전략을 먼저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술을 세워보세요.
'개인연금 백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능통장 ISA, 제대로 알고 쓰기 2편. (9) | 2025.02.03 |
---|---|
만능통장 ISA, 제대로 알고 쓰기 1편. (5) | 2025.02.01 |
요즘 난리 난 개인연금투자의 매력 다섯 가지 (5) | 2025.01.25 |
조기은퇴를 원한다면 남들과 다른 질문을 하라 (10) | 2025.01.19 |
개인연금을 보험사에서 가입하면 안 되는 이유 (5) | 2025.01.15 |